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항응고제(Anticoagulants) 종류 : 이해와 안전한 사용 치료 및 부작용

by 그레이윤 2024. 9. 6.

#항응고제 #Anticoagulants #항응고제종류 #항응고제부작용

 

항응고제(Anticoagulants) 종류 : 이해와 안전한 사용 치료 및 부작용

 

 

오늘은 항응고제(Anticoagulants)에 대해 설명 정리해 보았다. 이 글을 전체적으로 읽으면 항응고제 종류에 대해서 이해하게 될 것이며, 또한 항응고제로 치료하는 질병에 대해서도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항응고제 부작용의 지식이 추가로 필요하다면 전체 다 읽어보길 바란다.

 

 

그럼 이제 항응고제(Anticoagulants) 종류 : 이해와 안전한 사용 치료 및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목차]

1. 항응고제: 이해와 안전한 사용

2. 항응고제의 종류

3. 새로운 형태의 항응고제

4. 정상적인 반응(Normal Body Response to Injury)

5. 항응고제로 치료하는 질병

6. 항응고제의 부작용

 

항응고제

(Anticoagulants)

이란?

 

 

🔎 항응고제: 이해와 안전한 사용

 

 

응고제(抗凝固劑, Anticoagulants)는 혈액 응고(blood clots)를 억제하는 약물이다. 이 약물은 이미 응고된 혈액 덩어리가 더 이상 커지지 않도록 하고, 새로운 혈액 응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혈액 응고는 부상 시 과다 출혈(過多出血, excessive bleeding)을 방지하는 중요한 방어 수단이다. 작은 상처에서도 피가 멈추지 않고 지속적인 출혈이 발생하면 과다 누출로 인해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문제는 부상이 없는데도 응고가 일어나는 경우로, 이러한 응고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심장마비(heart attack)나 중풍(stroke) 등 여러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 항응고제의 종류

 

항응고제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와파린(warfarin)과 헤파린(heparin)이 있다. 이 두 약물은 작용 방식이 다르지만, 결과적으로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 와파린(Warfarin):

 

비타민 K에 따라 작용이 달라지며, 혈액 응고 요소(blood clotting factors)를 억제하여 심장마비 후나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환자의 재발성 혈액 응고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 헤파린(Heparin):

 

응고에 중요한 혈액 요소인 트롬빈(thrombin)의 활동을 억제하여 항응고 효과를 나타낸다. 헤파린의 새로운 형태인 저분자 헤파린(low-molecular weight heparin)은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보여준다.

 

 

와파린과 헤파린 모두 출혈(bleeding)의 위험이 있으므로, 약물을 복용한 후에는 정기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 새로운 형태의 항응고제

 

보다 안전한 항응고제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몇 가지를 소개하겠다:

 

 

👉 Danaparoid

 

: 심부정맥혈전증 치료에 처방되며, 헤파린과 유사한 작용을 한다.

 

 

👉 Hirudin, Argatroban, Bivalirudin

 

: 트롬빈의 활동을 억제하여 심부정맥혈전증과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으로 인한 중풍 예방에 효과적이다. Bivalirudin은 관상 혈관성형술(coronary angioplasty) 후 출혈 방지를 위해 사용된다.

 

 

👉 Ximelagatran

 

: 또 다른 형태의 트롬빈 억제제로 심부정맥혈전증에 처방되며, 심방세동으로 인한 색전성 중풍(embolic stroke)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 Fondaparinux

 

: 헤파린의 합성 형태로, 응고 과정에 다르게 작용하여 효과가 오래 지속된다. 일주일에 한 번 복용하면 된다.

 

 

👉 Rivaroxaban

 

: 무릎 대체 수술(knee replacement surgery) 후 발생할 수 있는 심부정맥혈전 예방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구강 복용으로 처방된다.


 

| 정상적인 반응(Normal Body Response to Injury)

 

부상이나 상처가 났을 때, 몸은 피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반응을 나타낸다:

 

 

✅️ 혈관 수축(Vasoconstriction)

 

: 혈관을 수축시켜 피의 손실을 줄이다.

 

 

✅️ 혈소판 응집(Platelets Aggregation)

 

: 혈소판은 혈액 응고와 지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작은 혈관이 터지면 서로 엉켜서 피의 손실을 막는다. 이 과정에서 화학 물질을 방출하여 상처를 치료한다.

 

응고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작은 상처에도 과도한 출혈이 발생하여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 혈장 요소(Plasma Factors)

 

: 혈장은 액체로 여러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13가지 화학물질이 반응하여 추가적인 응고를 촉진한다.


 

| 항응고제로 치료하는 질병

 

항응고제는 다음과 같은 질병에 사용된다: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정강이 안쪽이나 하복부에 생기는 혈전으로, 폐를 막는 폐색전(pulmonary embolism)의 위험이 있다.

 

 

👉 폐색전(Pulmonary Embolism): 심부정맥에서 생긴 혈전이 폐로 이동하여 폐혈관을 막는 증상이다.

 

 

👉 불안정한 협심증(Coronary Artery Disease with Unstable Angina):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심혈관이 좁아져 가슴 통증이나 압박감을 유발한다.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잘못된 전기적 충격으로 심장 박동이 불규칙하게 일어나는 경우로, 좌심실에서 피떡이 형성되어 심장마비나 중풍을 유발할 수 있다.

 

 

👉 뇌혈전증(Cerebral Thrombosis): 뇌혈관에서 혈전이 생겨 중풍의 위험을 높인다.

 

 

👉 심장판막질환(Valvular Heart Disease): 심장판막에 기능 이상이 생길 경우 항응고제나 판막 대체술이 시행된다.

 

 

👉 심근병증(Cardiomyopathy): 심장 근육에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 풍선 혈관확장술(Balloon Angioplasty): 막힌 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풍선을 확장시켜 막힌 부위를 넓히는 수술이다.

 

👉 개심술(Open Heart Surgery): 심장 절개 수술 후 응고 방지를 위해 항응고제를 복용한다.


 

| 항응고제의 부작용

 

항응고제를 복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비정상적인 출혈(위장 출혈이나 요도계 출혈)
  • 탁하고 검거나 붉은 오줌
  • 알레르기 반응
  • 열이 나 오한(chills)
  • 피부 괴사(skin necrosis)로 인한 피부 손상
  • 청색이나 자줏빛 발가락
  • 얼굴, 입술, 눈가의 부종(edema)

 

항응고제는 효과적인 치료 수단이지만, 적절한 사용과 정기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다. 항상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안전하게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