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척추후만증(Kyphosis) 원인과 증상, 치료 합병증 알아보자!

by 그레이윤 2024. 9. 2.

#척추후만증 #Kyphosis #척추후만증치료

 

척추후만증(Kyphosis) 원인과 증상, 치료 합병증 알아보자!

 

 

오늘은 척추후만증(Kyphosis)에 대해 설명 정리해 보았다. 이 글을 전체적으로 읽으면 척추후만증 원인에 대해서 이해하게 될 것이며, 또한 척추후만증 증상에 대해서도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척추후만증 치료법과 합병증의 지식이 추가로 필요하다면 전체 다 읽어보길 바란다.

 

 

그럼 이제 척추후만증(Kyphosis) 원인과 증상, 치료 합병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목차]

1. 척추후만증이란?

2. 척추후만증의 원인

3. 척추후만증의 증상

4. 척추후만증의 합병증

5. 척추후만증의 치료

 

 

척추후만증

(Kyphosis)

이란?

 

 

추후만증(脊椎後彎症, Kyphosis)은 상부 척추(上部脊椎, upper back)가 50도 이상 지나치게 휘어지는 증상으로, 꼽추(hunchback)나 꾸부정한 상태로 변하게 된다.

 

 

| 척추후만증 원인

척추후만증은 척추의 변형으로 발생하며 여러 원인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 관절염(arthritis)과 같은 퇴행성 질환(degenerative disease)

- 성장 장애

- 외상(外傷, trauma)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나이와 관계없이 올 수 있다.

 

 

사춘기에 나타나는 척추후만증(Adolescent kyphosis)은 Scheuermann's disease라고도 하며, 척추의 여러 뼈가 밀어내며 나오면서 발생한다.

 

 

성인이 되면서 나타나는 척추후만증(Adult kyphosis)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 골다공증(骨多孔症, osteoporosis)으로 인한 압박성 골절(compression fractures)
  • 척추 전방 전위증(脊椎前方轉位症, spondylolisthesis)으로 상부 등뼈 하나가 앞으로 빠져나감

 

기타 원인으로 오는 척추후만증은 다음과 같다:

- 특정 내분비 질환(Certain endocrine diseases)


- 결합 조직 장애(Connective tissue disorders)


- 원판 퇴행(Disk degeneration)


- 결핵(tuberculosis)과 같은 감염


- 근육 이영양증(筋異營養症, Muscular dystrophy)


- 신경섬유종증(神經纖維腫症, Neurofibromatosis)


- 가제트 병(Paget's disease)


- 소아마비(Poliomyelitis)


- 척추 분리증(Spina bifida)


- 종양(腫瘍, tumors)

 

척추후만증은 옆으로 휘는 척추측만증(脊椎側彎症, scoliosis) 환자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인은 자체적인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다.


 

| 척추후만증 증상

  • 호흡 곤란(상태가 심한 경우)
  • 피로감
  • 경증 통증
  • 등이 휘어짐
  • 척추가 굳어짐

 

 

🚨 위험 요소(Risk factors)

 

- 사춘기 소녀들에게 자세 불안으로 인한 척추후만증(postural kyphosis)이 높음.

 

- 10~15세 소년들에게 Scheuermann's kyphosis가 높음.

 

- 골다공증을 가진 노인층에서 척추후만증을 일으키는 척추 골절의 위험이 높음.

 

- 마판 증후군(Marfan syndrome)과 같은 결합 조직 장애가 있는 경우.


 

| 척추후만증 합병증

 

- 폐 용량(肺容量) 감소 (Decreased lung capacity)

 

- 불구성 허리 통증(Disabling back pain)

 

- 다리의 허약 김이나 마비 같은 신경학적 증상

 

- 등이 둥글게 변형됨(Round back deformity)


 

| 척추후만증 치료

 

원인과 현재 나타나고 있는 증상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게 된다.

 

 

👨🏻‍⚕️ 경미한 경우(less serious cases)

 

👉 체위성 척추후만증(postural kyphosis)

 

: 자세 교정과 허리 근육 강화 운동으로 스스로 치유가 가능하며, 딱딱한 침대에서 수면을 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운동이나 물리치료가 효과가 없을 때는 통증 완화제를 복용한다.

 

 

👉 구조성 척추후만증(structural kyphosis)

 

: 척추 변형으로 오는 경우로 나이, 성별, 증상의 정도, 휘어진 상태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게 된다. 때론 사춘기성일 경우 증상이 없을 경우 진행 상태를 관찰하기도 하며, 필요에 따라 통증을 줄이기 위해 소염 진통제를 복용하는데, 운동과 물리치료가 일반적으로 시행된다.

 

 

👉 골다공증으로 오는 척추후만증(osteoporosis-related kyphosis)

 

: 뼈의 밀도가 낮은 사람일 경우 다발성 압박 골절로 인해 척추가 휘어지게 되나 통증이나 기타 합병증이 없을 경우 치료를 요하지 않으나 추가적인 골절을 방지하기 위해 골다공증 치료를 하게 된다.

 

 

 

👨🏻‍⚕️ 심한 경우(More serious cases)

 

👉 여전히 자라는 청소년으로 휘어진 상태가 심한 경우, 일반적으로 버팀대(bracing) 착용을 권장하게 되고, 이를 통해 추가적인 만곡의 진행을 억제하고 어느 정도의 교정도 가능하게 된다.

 

버팀대도 여러 종류가 있으며, 상태에 따라 선택이 달라지게 되며, 성인일 경우도 정도에 따라 버팀대, 자세 교정기구나 체위 교정본을 입기도 한다.

 

 

👉 선천성 척추후만증(congenital kyphosis)일 경우 초기(early age)에 교정 수술(corrective surgery)이 바람직하다.

 

 

👉 감염이나 종양으로 오는 척추후만증은 약물이나 수술을 통한 집중 치료를 요한다.

 

 

👉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경우 수술을 통해 치료가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