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폐수종(Pulmonary edema) 증상 원인과 치료법은?

by 그레이윤 2024. 7. 5.

#폐수종 #Pulmonaryedema #폐수종증상 #폐수종치료

 

안녕하세요. 다양한 건강 정보를 소개하는 김포미즈한방병원 입니다.

폐수종(Pulmonary edema) 증상 원인과 치료법은?

 

 

늘은 폐수종(Pulmonary edema)에 대해 설명 정리해 보았다. 이 글을 전체적으로 읽으면 폐수종 원인에 대해서 이해하게 될 것이며, 또한 폐수종 증상에 대해서도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폐수종 치료법의 지식이 필요하다면 전체 다 읽어보길 바란다.

 

 

그럼 이제 폐수종(Pulmonary edema) 증상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목차]

1. 폐수종 이란?

2. 폐수종 원인

3. 폐수종 증상

4. 폐수종 치료

 

 

폐수종
(Pulmonary edema)
이란?

 

 

폐수종(肺水腫-Pulmonary edema)이란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해 주는 폐안의 공기주머니(air sacs)인 페포낭(肺葡囊-alveoli)에 지나치게 수액(水液-fluid)이 차며 오는 증상을 말하며 주된 증상으로 호흡곤란(shortness of breath)이 된다.


 

| 폐수종 원인

 

심부전증(心不全症-heart failure - 몸에서 필요로 하는 피를 충분히 내보내지 못하는 상태)으로 정맥에 혈압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혈액 속에 수액이 공기주머니에 차이게 되고, 지나치게 찬 수액으로 인해 폐에서 산소(oxygen)의 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서 호흡곤란이 오게 된다.

 

 

심장마비(heart attack), 승모판(mitrial valve)이나 대동맥판막(aortic valves)의 협착(stenosis)이나 탈출(prolapse)과 같은 심장판막 이상, 심장근육을 약화시키거나 굳게 하는 심근병증(心根病症-cardiomyopathy)으로도 오게 되며,

 

 

독성가스 흡입, 심각한 감염, 약물의 부작용, 외상과 같은 폐의 직접적인 부상이나 신부전증(腎不全症-kidney failure)으로 오기도 하며, 고도가 높은 곳에서 지나친 활동을 할 경우도 오게 된다.


 

| 폐수종 증상

 
 
  • 불안감
  • 기침
  • 호흡곤란
  • 창백한 피부
  • 지나치게 땀을 흘림
  • 각혈(coughing up blood)
  • 의식저하
  • 표현장애
  • 빠른 심장박동
  • 가슴통증(원인이 심장질환으로 올 경우)
  • 고도가 높은 곳에서 나타날 경우 두통, 불면증, 기침, 호흡곤란 등이 오게 된다.

 

| 폐수종 치료

 

일차적인 치료는 산소호흡기를 통해 호흡 장애를 해소시켜주게 되며 상태에 따라 그에 맞는 약을 처방받게 된다. 폐정맥을 확장시켜주며 심장이나 폐에 압력을 줄여주는 nitroglycerin 이나, 이뇨제(diuretics)인 furosemide(Lasix)이 처방된다.

 

호흡장애와 불안감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morphine (약명 Astramorph, Roxanol)이 처방되기도 하나 의사에 따라 부작용이 심한 관계로 선별적으로 처방하기도 한다. 말초혈관을 넓혀 피를 내보내는 좌심실(left venricle)의 압력을 낮추어주는 약으로 nitroprusside(Nitropress), enlapril(Vasotrc), captopril(Capoten) 등이 있다.

 

 

폐수종으로 인해 혈압이 올라 갔을 경우 혈얍저하제가 처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