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양한 건강 정보를 소개하는 김포미즈한방병원 입니다.
오늘은 승모판협착증(Mitral Stenosis) 원인과 주요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 글을 전체적으로 읽으면 승모판협착증 원인에 대해서 이해하시게 될 것입니다. 또한 승모판협착증 주요 증상과 치료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두시는 것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승모판협착증
(僧帽瓣狹窄症-Mitral Stenosis)
이란?
승모판 협착증은 심장의 승모판이 좁아져 정상적으로 열리지 못하는 질환으로, 이는 심장의 좌측 부분인 심방과 심실 사이에서 발생한다.
이 현상은 폐에서 온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심실로 제대로 흐르지 못하게 만들며, 결과적으로 심방에 압력이 증가하고 폐로 혈액이 역류하여 폐수종을 유발하고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럼 구루병(Rickets, 곱사등)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승모판협착증 원인과 위험 요소 2. 승모판협착증 증상 3. 승모판협착증 합병증 예방 및 관리 4. 승모판협착증 치료 전략 5. 승모판협착증 예방과 주의 6. 마무리 |
| 승모판협착증 원인과 위험 요소
성인에서 승모판 협착증은 주로 류머티즘 열이 원인으로, 이는 성홍열 후 5~10년에 걸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판막 주변에 칼슘 축적, 방사선 치료, 특정 약물 사용 등이 원인일 수 있다.
아동의 경우, 선천성 협착증과 심장 결함이 주요 원인이며 가족력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승모판협착증 증상
성인의 경우, 증상은 운동이나 과도한 활동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으며, 심방세동, 임신, 심장 또는 폐 감염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다.
나타나는 주요 증상으로는
|
아이들일 경우 선청성으로 2세 전에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피부나 점액막이 산소 부족으로 푸른색을 띠는 청색증(靑色症-cyanosis)이 오며 성장이 늦고 호흡곤란 증세를 보인다.
| 승모판협착증 합병증 예방 및 관리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또는 심방조동(Atrial flutter)
- 심부전증(Heart failure)
- 폐수종(Plumonary edema)
- 폐고혈압(Plumonary hypertension)
- 피의 응고로 인한 뇌졸중의 위험 증가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 승모판협착증 치료 전략
증상이 경미하거나 없는 경우, 주기적인 관찰을 통해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약물치료 : 심부전증(heart failure)이나 심방세동과 같은 심장박동에 이상은 이뇨제(diuretics), 질산염(nitrates), 베타차단제(beta-blockers)로 치료하게 되며 고혈압일 경우 혈압을 낮추는 노력을 해야 한다. 항응고제(Anticogulants)는 피의 응고 방지를 의해 처방된다.
환자에 따라서는 수술이 필요하기도 하는데 판막교정술이나 판막대체술이 시행되기도 한다.
경피적 승모판 풍선확장술(Percutaneous mitral ballon vavotomy)이라 하여 카테터(catheter)를 다리 쪽 정맥을 통해 심장에 까지 삽입시킨 수 카테터 끝에 있는 풍선을 부풀려서 좁혀진 판막을 넓히게 하여 피의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아이들일 경우는 약물치료 보다 교정술이나 대체술과 같은 수술을 하게 된다.
* 박테리아 감염으로 인해 심장판막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수술이나 외과적 처치, 치아 수술을 시행하기 전에 의사에게 자신의 판막협착증세를 미리 알려야 하며 미리 수술 전에 항생제를 처방하여 감염에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 승모판협착증 예방과 주의
박테리아 감염으로 인한 심장판막 손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수술이나 치과 수술 전에 의사에게 판막 협착증을 알리고 필요한 경우 항생제를 미리 처방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고, 심각한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이다.
✳️ 생활습관의 중요성
승모판 협착증 관리에 있어 생활습관의 조정은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된다.
또한, 정기적인 운동은 심장 기능을 강화하고 혈압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과도한 운동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하여 적당한 운동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 정기적인 검진의 중요성
승모판 협착증 환자는 정기적인 의료 검진이 필수적이다. 이는 질환의 진행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치료 조정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특히, 증상이 나타나거나 변화가 있을 때 즉시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 마무리
승모판 협착증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기적인 의료 검진, 생활 습관의 조정,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승모판 협착증 환자는 더 건강하고 활동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따라서, 승모판 협착증을 포함한 심장 질환의 관리에 있어서는 예방과 조기 발견, 그리고 지속적인 치료가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승모판 협착증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를 통해 더 나은 건강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후우울증 증상 : 임산부의 정신건강, 태아의 미래까지 좌우한다 (0) | 2024.06.14 |
---|---|
관절염 치료에 도움 되는 서양 민간요법 알아보기! (0) | 2024.06.11 |
신장질환 증상을 알리는 7가지 징후 정리! (0) | 2024.06.04 |
심장, 뇌 혈관 질환 예방 : 혈관 건강음식 7가지 참고해요! (0) | 2024.05.31 |
구루병(Rickets, 곱사등) 기본정보 :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은? (0) | 2024.05.29 |